다양한 이야기

듣는 순간 신뢰를 잃는 말버릇 2가지, 혹시 당신도?

memoguri9 2025. 3. 31. 08:40
반응형

사람들과의 대화에서 신뢰감을 유지하는 것은 관계와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요소입니다. 하지만 때로는 본인이 인지하지 못한 말버릇 때문에 상대방이 신뢰를 잃거나 거리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.

 

이번 글에서는 구체적인 두 가지 말버릇을 살펴보고, 이를 개선하기 위한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
"아마, 아, 음으로 시작하는 말" 🙄

불확실함을 전달하는 말버릇

많은 사람들이 대화 중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"아마", "음…", "그게" 등의 불확실한 표현은 듣는 이로 하여금 신뢰감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. 이는 단순히 버릇일 수 있지만, 언뜻 들으면 화자가 자신의 말에 자신감이 없거나 확신이 부족해 보이게 만듭니다.

 

예를 들어, 직장에서 직원이 상사에게 "이번 프로젝트는 아마 내일까지 완료될 것 같습니다"라고 말한다면, 상사는 그 직원이 확실하게 결과를 보장하지 못한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.

 

이 말버릇은 특히 공식적인 자리나 중요한 비즈니스 상황에서 상대방이 두려움이나 의구심을 느끼게 만듭니다.

 

이 습관이 왜 문제가 될까요?

  1. 신뢰감 손실: 불확실성은 상대방을 불편하게 합니다.
  2. 전문성 감소: 프로페셔널한 인상을 전달하지 못합니다.
  3. 논리적 설득력 하락: 강력한 메시지 전달이 어렵습니다.

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요?

  • "아마" 대신 확신을 담은 표현을 사용하기: "내일까지 완료할 수 있습니다."
  • 대화 전에 생각할 시간을 가져 간결하고 명확한 문장을 준비합니다.
  • 무의식적으로 입에 붙은 불필요한 접두어를 제거하려면 발화 습관 점검을 연습해야 합니다. 녹음을 하거나 친구와 연습 대화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
"솔직히 말해서"라고 자주 말하기 📝

필요 이상의 진실 강조는 오히려 의구심을 낳는다

일상 대화에서 **"솔직히 말해서"**라는 표현이 자주 사용되는 것을 들을 수 있습니다. 한두 번 사용하면 의미 전달에 유용하지만, 반복적으로 사용되면 상대방이 이미 당신의 말을 '진실하지 않다'고 의심할 가능성을 높입니다.

 

예를 들어, 누군가가 "솔직히 말해서, 저는 이번 일을 잘 몰랐어요"라고 하면, "평소에는 진실하지 않았다는 의미인가?"라는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.

 

이러한 적극적인 진실 강조는 부정적인 추측을 가능하게 해서 결과적으로 말의 효율성을 낮춥니다.

 

왜 이 말버릇이 신뢰를 떨어뜨릴까요?

  1. 문장의 기본 의미 약화: 모든 말이 솔직해야 하는 것이 기본 전제인데, "솔직히"를 언급하면 기본 전제를 스스로 깨는 꼴이 됩니다.
  2. 진실성 의문 제기: 필요 없이 강조된 표현은 오히려 부정적인 반응을 유도합니다.
  3. 의뢰인의 마음 혼란: 특히 서비스 분야에서는 이 말 하나로 신뢰도가 무너질 가능성이 큽니다.

어떻게 고칠까요?

  • "솔직히"를 사용하는 대신, 구체적이고 명확한 사실을 바로 전달합니다. 예를 들어, "솔직히 이번 프로젝트는 어려웠습니다." 보다는 "이번 프로젝트는 예상보다 어려웠습니다."라고 말하세요.
  • 느슨한 표현을 강력하고 간결한 언어로 대체하십시오.
  • 습관적으로 쓰고 있다면, 본인이 이를 인지하며 종이에 자주 쓰는 표현을 기록하고 제거하는 연습을 시작하세요.

이 두 가지 습관을 가진 분들의 사례 👩‍💼

  1. 직장인 A씨는 회의 중 **"음… 아마 다음 주쯤 가능할 것 같습니다"**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했습니다. 상사와 고객은 A씨를 불확실한 사람으로 판단하게 되었고 업무 신뢰도가 크게 낮아졌습니다. 하지만 "다음 주 화요일 오후까지 완료하겠습니다"로 구체적인 기한을 명확히 전달한 후, 팀 내 신뢰도를 회복할 수 있었습니다.
  2. 마케터 B씨는 고객 프레젠테이션 중 **"솔직히 말씀드리자면, 이 전략이 확실하지는 않습니다"**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했습니다. 고객은 당연히 회의감을 느꼈고 이는 계약 성사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. 이후 B씨는 "이 전략은 다음 단계의 성장 가능성을 기반으로 준비되었습니다"라는 구체적이고 긍정적인 접근법을 사용하면서 상황을 개선했습니다.

글 내용 요약 ✍️

  • 대화 상대에게 신뢰를 잃게 만드는 대표적 말버릇으로 불확실한 접두어 사용 및 불필요한 강조 표현을 꼽을 수 있습니다.
  • "아마", "음" 등의 표현을 제거하고 명확한 어조를 유지하세요.
  • "솔직히 말해서"처럼 진실을 강조하되 구체적이고 간결한 진술로 대체하세요.

주요 단어 설명 📝

  1. 말버릇: 특정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사용되는 습관적인 말투나 표현.
  2. 신뢰감: 상대방이 느끼는 믿음과 안정감.
  3. 불확실성: 명확하거나 확신이 서지 않은 상태.
  4. 전문성: 특정 영역에서의 숙련도와 믿을 만한 지식 정도.
  5. 즉흥적 표현: 계획 없이 순간적으로 나오는 대화 방식.

 

반응형